美 1928~2007년 자살률-경기 상관관계 살펴보니
대공황기 10만명당 22.1명 사상최고…수치로 첫 확인경기가 안 좋을 때 자살률이 높다는 게 사실로 입증됐다. 특히 노동인구의 자살률이 경기변동에 민감, 경기와 자살률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지난 1928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의 경기변동과 자살률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불황기에 자살률이 증가하며 특히 노동인구(25~64세)의 자살률이 경기변동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간 중 자살률은 조사 시작 시점인 1928년 10만명당 18명에서 2007년엔 11.2명으로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자살률은 경기 사이클에 따라 급속한 변화를 나타냈다. 특히 심각한 불황이 1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자살률은 크게 증가했다. 자살률이 가장 크게 증가한 기간은 대공황기(1929~1933년)로 10만명당 18.0명에서 22.1명까지 높아져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뉴딜정책 종료기(1937~1938년), 석유파동기(1973~1975년), 더블딥 불황기(1980~1982년) 등 조사기간 전체 13번의 불황기 중 자살률 증가가 나타난 기간은 11번이었다. 반면 고성장ㆍ저실업으로 경제호황을 누렸던 2차세계대전기(1939~1945년)엔 자살률이 10만명당 16.8명에서 11.2명으로 감소했고, 최장기 호황이 이어졌던 장기호황기(1991~2001년)엔 10.4명까지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노동인구(25~64세)의 자살률은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전체 13번의 불황기 중 45~54세 인구는 11번의 자살률 증가를 나타낸 반면, 75세 이상 인구는 총 5번의 자살률 증가를 보였다. 또 총 13번의 호황기 중 노동인구는 9~10번 자살률 감소를 나타냈으나 75세 이상 인구는 5회 감소를 보여 노동인구가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자살률에 미치는 경기 사이클의 영향’이라는 제목으로 이날 미국공공보건저널(AJPH) 온라인판에 실렸다. 유지현 기자/prodi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