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반도체 수장 바꾼 삼성, AI시대 주도권 사활 걸어야

삼성전자가 21일 전영현 미래사업기획단장(부회장)을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에, 경계현 기존 DS부문장은 미래사업기획단장에 선임하는 원포인트 인사를 단행했다. 삼성전자가 비정기 인사로 주요 사업부의 수장을 교체한 것은 이례적이다. 최근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여러 반도체 사업이 경쟁사에 추월 당하거나 열세인 상황이 이어지자 ‘쇄신의 칼’을 빼든 것이다.

위기감의 근원은 세계 1위인 메모리 반도체마저 경쟁사인 SK하이닉스에 밀리고 있다는 점이다. SK하이닉스는 AI용 반도체 핵심부품인 HBM(고대역폭메모리) 기술력을 앞세워 삼성의 입지를 뒤흔들고 있다. 올해 1분기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2조8860억원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1조9100억원)보다 1조원 가까이 많다. 기존 메모리 보다 수익성이 3~4배 높은 HBM의 주도권을 쥐고 있기 때문이다. 하이닉스는 세계 AI 가속기 시장을 장악한 엔비디아에 HBM을 독점 공급하고 있고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글로벌 1위인 대만 TSMC와 차세대 HBM 개발 동맹까지 맺었다. 반면 삼성은 5세대 HBM의 엔비디아 납품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상황이 역전된 것은 삼성전자의 뼈아픈 실책 때문이다. HBM이 등장한 2010년대 초반만 해도 두 회사의 기술력은 비슷했다. 하지만 2019년 삼성전자는 HBM 연구개발 전담팀을 해체했다. AI 반도체 시장이 뜨기 전이라 HBM의 잠재력을 과소평가한 것이다. 2020년 이후 AI 반도체 시장은 급성장했고, 그 탄탄대로를 하이닉스가 먼저 질주하고 있다. 삼성은 파운드리 분야에서도 TSMC에 크게 밀리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점유율은 11.3%로 61.2%의 TSMC와 격차가 더 벌어졌다. 구원투수로 등장한 전 부회장은 2015~2016년 DS부문을 이끌면서 삼성의 메모리를 세계 최고로 끌어올린 주역이다. 그가 삼성의 ‘초격차 DNA’를 살려내길 기대한다.

삼성전자는 고비마다 특유의 충격요법으로 위기를 돌파하곤 했다. 이건희 회장은 반도체가 호황인 시절에도 “5년, 10년 뒤를 생각하면 등에 식은땀이 흐른다”고 말할 정도였다. 외환위기땐 진대제 당시 부사장을 대표로 기용해 시스템(비메모리) 반도체에서 활로를 찾았고, 2000년대 초반 후발 주자였던 낸드 플래시 사업은 황창규 사장을 내세워 세계 1위로 올라섰다.

반도체 전쟁은 국가대항전이 된지 오래다. 20일 취임한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대만을 실리콘 섬에서 AI 섬으로 발전시키겠다”고 했다. 반도체 강국을 넘어 AI 허브로의 변신을 선언한 것이다. 우리 정부와 정치권도 비상한 각오로 AI 대전에 임해야 한다.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