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두달 연속 2%대...체감물가 안정돼야 실감

물가가 3월 정점에 이르렀다가 더디지만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는 정부의 예측 경로를 밟고 있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 소비자물가가 작년 같은 달보다 2.7% 오르면서 두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올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 2.8%에서 2월과 3월 3%대(3.1%)로 올랐다가 4월에 다시 2.9%로 내려왔다. 한국은행은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한은 전망(2.4%)대로 흘러가면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입장인데 일단 청신호가 켜진 것이다.

물가상승률이 2%대로 내려왔다지만 체감물가는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달에도 사과(80.4%), 배(126.3%) 등 농산물 물가가 19.0% 올라 물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석유류 물가상승률은 3.1%로 나타나 전월(1.3%)보다 오름세가 확대됐다. 지난해 1월(4.1%)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1% 상승했다. 밥상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신선식품 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17.3% 올랐다. 신선채소가 7.5% 올라 한 자릿수대 상승률로 내려왔지만, 신선과실 상승률은 39.5%로 불안한 흐름이 이어졌다.

문제는 하반기로 갈수록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우선 2분기 들어 외식과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다. 대표 외식메뉴인 햄버거, 피자, 치킨 등 가격이 일제히 오르거나 인상될 예정이다. 물가자극 우려가 큰 이벤트도 줄줄이 대기 중이다. 6월 말까지 연장된 유류세 한시인하 조치가 종료될 가능성이 있다. 그동안 정부가 임의로 눌러온 전기·가스요금도 인상 시점을 찾고 있다. 올 여름 폭염, 폭우 등이 예년보다 더 극심할 전망이어서 농산물 수급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고물가는 가계의 실질소득 감소와 내수 부진을 가져오는 단초다. 서민과 중산층의 소비를 위축시키고 영세 자영업자의 매상을 나락으로 떨어뜨린다. 이런 사정을 모르지 않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민 1인당 25만~3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을 해결책으로 내세웠는데 현금 살포는 모르핀 주사나 다름 없다. 당장엔 고통을 덜어줄 지 몰라도 인플레이션을 가중시켜 고물가의 수렁을 더 깊게할 뿐이다.

지표상의 온기가 체감물가 안정으로 이어지기까지 숱한 과제가 남아 있다. 우선 국제 유가·곡물 가격 같은 외생 변수가 우호적이어야 한다. 정부가 추진 중인 농산물 수급 안정을 위한 작황 제고 및 유통 쳬계 개선도 많은 시일이 필요하다. 내수 경기를 살릴 금리 인하도 미국 보다 선제적으로 움직이기 어렵다. 한 방에 해결할 사안이 아닌만큼 단기와 중장기 대책을 병행하면서 차분하게 대응해야 한다.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