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역량 낮을수록 빈곤·고립감 심화 우울증 노출
‘시니어 디지털아카데미’에서 한 어르신이 스마트폰 활용법 등 기초 디지털역량 강화 훈련을 받고 있다. [헤럴드DB] |
우리나라 고령인구(55~79세) 중 70%는 계속 일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근로를 희망하는 이유로 ‘생활비에 보탬(55%)’이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35.8%)’이 뒤를 이었다. 경제력과 삶의 보람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이처럼 계속해서 일하려 하지만 디지털 취약계층인 이들이 인터넷으로 일자리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60세 이상 시니어 일자리 관련 조사 결과, 일자리 찾을 때 가장 어려운 점으로 68.1%가 ’일자리정보를 어디서 구해야 할지 모른다‘를 꼽았다. 일자리를 얻게 된 경로로 가족·지인의 소개가 33.1%로 가장 높았다.
기업들이 대부분 인터넷과 앱을 통해 구인하고 있는 데 반해 노인들은 디지털기기 활용이 낮아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다. 가령 일자리정보가 많은 인터넷사이트에 접속해 회원가입과 각종 인증절차에서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이 때문에 노년층은 디지털격차로 인해 취업시장에서 소외되며, 그들이 원하는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거나 일회성 일자리를 전전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0.4%로 회원국 중 1위다. OECD 평균 14.2%를 훌쩍 넘는다. 따라서 생활전선에 뛰어드는 이들이 늘 수밖에 없다.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는 지난해 동기 대비 27만2000명 증가한 674만9000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이같은 빈곤과 정서적 고립감은 우울증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2018년 23만2509명이던 65세 이상 우울증 환자가 2022년에 24만7731명으로 늘었다. 전체 우울증환자 중 35.69%가(2021년 기준) 60대 이상이다.
디지털기기 사용능력이 노인 우울증과 연관돼 있다는 학계의 연구도 있다. 인제대·한경국립대가 2022년 65세 이상 서울 거주 노인 29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전체의 9.3%가 우울증상을 경험했다. 특히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우울증 위험이 2.7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디지털역량이 낮을수록 사회적 고립감이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디지털 케어서비스를 꾸준히 이용한 노인들은 우울증 증상이 낮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전남대 이전화 교수팀이 독거노인 등 고령층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디지털 케어서비스를 꾸준히 이용한 노년층에서 고독감 감소(65.9%), 우울증 감소(63.5%) 등이 나타났다.
노년층 디지털 소외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자 기업들도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삼성의 새로운 CSR 사업인 ‘시니어 디지털아카데미’가 있다. 노인들이 기초 디지털역량을 쌓고 취업을 통해 사회참여도 이룰 수 있도록 취업 연계형 디지털교육도 진행한다.
이 사업을 주관하는 에스원 측은 “노인들이 스마트폰, PC, 키오스크 등 디지털기기를 능숙하게 다뤄 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하는 게 일차 목적이다. 더 나아가 취업역량까지 키워 새로운 삶을 살아 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했다.
조문술 선임기자
freihei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