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집트 후폭풍 전전긍긍...北 체제단속에 안간힘
아프리카에서 중동으로 노도처럼 번지고 있는 민주화 불길 앞에 북한 정권의 조바심이 커지고 있다.

북한 매체들은 아랍권 혁명을 직접 거론하지 않으면서, 서구식 민주주의 제도를 비난하고 주민들의 사상무장을 강조하는 우회전략을 펴고 있다. 군부는 주민들의 폭동 가능성에 대비한 군사배치 등을 통해 체제 단속에 안간 힘을 쓰고 있다.

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조선중앙방송은 최근 “서방식 민주주의와 다당제를 받아들인 나라들에서 최근 정치적 혼란과 폭력사태가 걷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러 국제사회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며 노동당 일당 독재의 우월성을 강조했다.

평양방송도 지난 14일 “사회주의를 무너뜨리는 데 앞장섰던 동유럽 청년들은 자본주의의 썩고 병든 문화에 젖어 이전 세대들이 이룩한 혁명의 전취물을 허물어뜨리는 결과를 빚어냈다”며 청년들의 정신무장을 강조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중국에서 인터넷을 통해 민심을 흐리게 하고 사회적 불안정을 조장하는 행위에 타격을 가하는 것은 인민의 이익과 사회의 안정, 조화로운 발전을 위한 옳은 조치”라고 중국 정부의 인터넷 통제 정책을 옹호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북한은 주민들의 폭동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고 대북매체들은 전했다.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5일 “평양 시내 한복판에 김정일 위원장의 경호부대인 호위사령부 소속 탱크부대가 있다”며 폭동 등 반체제 사태에 대비해 수도 외곽이 아닌 중심 구역에 탱크를 배치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편 북한에도 이집트와 같은 뉴미디어혁명이 가능한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15일 미 방송위원회(BBG)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대북전문가들은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입을 모았다.

북한 정권이 자국내에 뉴미디어 혁명이 전염될까 노심초사하고 있지만 인터넷 연결이 차단돼 중동국가들보다 더욱 폐쇄적인 북한에 당장 뉴미디어를 통한 변화의 바람이 불어닥치기는 극히 힘들다는 것이다.

1980년대 김일성대에서 유학한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그나마 1990년대 이후 탈북자들이 중국 국경을 통해서 드나들고 북쪽 국경지대의 통제가 상대적으로 약화돼 외부세계의 정보들이 국경을 통해 스며드는 것은 변화의 징조”라고 말했다.

<안현태 기자 @godmarx> pop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