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백화점-이마트 분리선언 왜?
異種업종 통합경영 비효율사업·업태별 책임경영 강화
홈쇼핑·편의점 진출 등
M&A 본격화 시동 해석
신세계가 백화점 부문과 이마트 부문을 법인 분리해 각각의 회사로 운영키로 함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일단 신세계는 다음달 이사회와 3월 주주총회 의결을 거쳐 5월까지 분할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신세계 관계자는 “그동안 서로 다른 두 사업을 통합 경영하면서 비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인력 운영이 있었다”며 “사업별 전문성을 살리고 업태별 책임경영 체제를 강화해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업 분할을 추진키로 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신세계의 이 같은 기업 분할 추진은 백화점과 마트를 통합 운영하고 있는 경쟁사 롯데쇼핑과 정반대의 선택이라는 점에서 더욱 눈길을 끈다. 때문에 재계 일각에서는 이번 선택이 백화점과 대형 마트 두 가지 채널만 갖고 있는 신세계가 신사업 투자를 효율화해 업태를 다각화하기 위한 기반 다지기가 아니냐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신세계가 추진하는 기업 분할 방식이 회사를 매각 또는 인수ㆍ합병(M&A)하기에 유리한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어서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은 백화점과 이마트 분리를 계기로 홈쇼핑, 편의점 등 신유통 시장에 적극 진출해 명실상부한 유통그룹의 면모를 구축해갈 계획이다. [헤럴드DB] |
후발 사업이었던 이마트가 대형 마트 1위로 부상하는 등 규모가 커짐에 따라 백화점 부문에서 받던 시너지 효과가 점점 미미해지고 있고, 서로 다른 부문이 통합 운영되다 보니 그룹 차원의 새로운 사업에 대한 투자가 비효율적으로 이뤄진다는 지적을 받아온 것도 이러한 시각에 설득력을 더한다.
여기에 신세계가 보유한 3조원에 달하는 삼성생명 지분 매각대금의 투자처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도 이번 기업 분할이 유통 분야 사업 확장을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분석을 하게 하고 있다.
재계 일각에서는 이번 기업 분할을 경영권 승계와 관련지어 보고 있다. 정용진 부회장이 총괄대표로 취임하며 책임경영을 맡은 지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최대주주는 17.3%의 지분을 가진 이명희 회장이기 때문에 정 부회장(7.32%)과 정유경 부사장(2.52%) 등 두 자녀에 대한 분할 승계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한편 신세계는 기업 분할 방식으로 인적 분할 방식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 분할 시 기존 주식은 신설되는 백화점과 이마트 두 개 회사 분할비율에 따라 주주에게 배분된다. 분할 전후 대주주 및 특수관계자의 지분구조는 같다. 지난해 11조250억원 매출에 1조76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되는 신세계는 현재 이마트가 77.6%, 백화점이 22.4%의 매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성연진 기자/yjsu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