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장기적 대응시나리오 시급
최근 일본 신용등급이 강등되면서 국내 업계의 장기적인 대응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신용등급 하락에 따라 현재로선 큰 영향은 없지만, 엔화 약세가 본격화되면 일부 업종에서의 엔고 수혜는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다만 일본 경쟁력 약화는 전자 산업 등 한국 전자제품의 상대적 브랜드 가치 상승으로 연결돼 긍정적인 요인도 작지 않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31일 “엔고로 기계 철강 자동차 등이 올해 수혜가 기대된다는 전망이 강했는데, (엔고가 희석되면서)어느정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본다”며 “이는 어디까지나 제한적이 될 것인데, 다만 엔화약세 흐름이 가파르게 진행되면 상황은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철강업체 등의 반응은 신중하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엔고 현상이 사라지면 일본 기업의 가격경쟁력이 상승하지만, 자금 차입 등 어려움도 동반 예상돼 일본 경쟁업체의 경쟁력 저하로도 이어질 수 있다”며 “우리로선 호재와 악재가 상존하는 상황이어서 반드시 나쁘다고만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조선업종의 경우 현재 한국과 중국이 양강체제를 유지하고 있고, 일본 조선사의 수주량은 전세계 2% 가량에 불과해 비교 자체가 큰 의미는 없다는 입장이다. 전자업계도 일본 신용등급 하락에 별다른 영향은 없다고 보고 있다. 엔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피해도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삼성ㆍLG전자 측은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을 것”이라며 “오히려 한국 전자 제품의 브랜드 가치가 일부 올라가는 효과가 제한적으로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의 신용등급 하락과 일본 경제의 부진의 와중에 국내기업이 엔고혜택 희석에 따른 일부의 손실을 만회할 전략을 가동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엔고나 엔저의 단발적 현상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근원적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훈 인천대 교수(동북아통상학부)는 “일본이 아시아시장을 적극 공략할 것을 대비해 우리 제품의 품질, 애프터서비스 등 비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라며 “부품산업의 일본 틈새시장을 노리는 등 꾸준한 노력도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상ㆍ하남현 기자 @yscafezz>
ysk@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