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집트 개혁 불똥 튈라.. 중국, 인터넷 검열 강화
중국이 인터넷 검색창에 ‘이집트’라는 단어를 차단하는 등 인터넷 검열을 강화하고 나섰다. 연일 계속된 이집트의 정치 개혁 목소리가 자칫 자국의 민주화 요구로 옮겨 붙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1일 중국 당국이 ‘중국판 트위터’인 시나닷컴의 마이크로블로그서비스에서 ‘이집트’라는 단어 검색을 차단하고 관영 신화통신의 관련 보도에 달린 댓글 등 거의 모든 코멘트를 30일 삭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 2009년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우루무치(烏魯木齊)에서 폭력시위가 발생했을 때도 몇 달간 인터넷 접속을 완전히 차단했고 조지아(러시아명 그루지야), 우크라이나, 키르키스스탄 등에서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장미’ ‘오렌지’ ‘레몬’ 혁명 등 일명 ‘색깔혁명’이 일어났을 때도 인터넷 검열을 강화했다.

이는 공산당이 권력을 독점한 중국이 인터넷을 통한 정보 확산으로 정치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직면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물론이고 중국에서는 외국의 다른 소셜네트워킹사이트(SNS)도 접속이 불가능하며 정치적으로 민감하거나 국내법상 불법이라고 판단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도 차단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통제를 받는 자체의 마이크로블로깅 사이트는 2009년 가입자가 800만명에서 2010년에는 7500만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한편 중국 언론은 이집트 시위 사태에 대해 사실관계 위주로 제한된 보도만 간단히 처리될 뿐 심층적인 분석이나 논평 등은 자제하고 있다.

현재 주요 뉴스 포털사이트들의 이집트 관련 기사는 대부분 신화통신에 의존하고 있다. 신화통신은 무바라크 대통령이 총리를 임명한 내용 등 53건의 관련보도를 내보냈지만, 소요사태 등에 대해서는 크게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발행하는 환구시보(環球時報) 등 소수의 언론을 제외하고는 자체보도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며 논평 역시 마찬가지다.

환구시보는 30일 중문판과 영문판에 공통적으로 게재한 사설에서 “색깔혁명은 진정한 민주주의를 성취하지 못했다”면서 “민주주의의 성공은 경제와 교육, 사회적인 토대 속에서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튀니지와 이집트에서의 민주화는 여전히 요원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주의를 정치적으로 실제로 적용한다면 서방의 모델은 몇가지 대안 중 하나일 뿐”이라고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중국은 내년 말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을 비롯한 7명의 정치국 상무위원이 퇴진하고 차기 지도부가 구성되는 권력 승계를 앞두고 언론과 인터넷에 대한 통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