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원자재값 급등 발목
포스코 영업익 1兆 밑돌듯
삼성 7분기만에 영업익 감소
LG는 약세불구 흑자전환
도요타 리콜·日지진 반사익
현대車 깜짝실적 기대감
그 어느 해보다 변수가 많았던 올 1분기의 어닝 시즌이 시작됐다. 올 1분기는 일본 대지진을 비롯해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복병들이 속속 등장해 주요 기업들의 실적 흐름을 바꿔놓았다. 원자재 가격 상승을 비롯한 고물가 역시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업종별로 호황의 초입에 들어선 곳이 있는 반면 바닥을 다지며 2분기 이후를 바라봐야 하는 기업들도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겨루고 있는 경쟁자들의 동향도 변수로 작용했다.
▶원자재가, 일본 대지진에 울고 웃고=올 1분기 실적의 흐름은 기업의 실력 이상으로 외부 변수가 그 어느 때보다도 크게 작용됐다. 특히 원자재가 급등과 일본 대지진, 환율 급락에 따른 원화 강세가 기업들의 실적을 크게 좌지우지했다.
1분기 가장 우수한 성적표를 내밀 것으로 보이는 정유업계는 이 같은 변수들이 모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했다. 국제 유가 상승과 정제마진 확대로 올 1분기 국내 정유사들은 사당 5000억~9000억원의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둔 것이 확실시된다.
세계 수요가 살아난 데다 리비아 사태로 인해 세계 시장에선 아시아 프리미엄까지 붙었다. 일본 지진이란 특수까지 발생해 국내 정유, 화학사들은 소리 없이 웃었다.
아울러 천연고무와 면화 값의 상승으로 대체재인 합성고무와 합성섬유 수요가 증가해 화학, 화섬업체들이 수혜를 봤다. 지난 14일 발표한 금호석유화학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40%, 영업이익은 13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포스코를 비롯한 철강업계는 원자재가가 발목을 잡았다.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이 10~15%, 유연탄이 40% 정도 올랐지만 정작 철강제품 가격은 올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서는 포스코가 올 1분기에 1조원 이하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 1분기에는 1조447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바 있다.
▶‘애플 쇼크’ 강력한 경쟁자에 밀려=삼성전자는 최근 발표한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잠정 집계한 결과, 각각 37조원, 2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3조원 밑으로 내려간 것은 2009년 2분기(2조6700억원) 이후 7분기 만의 일이다.
LCD 시황의 악화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정보통신 분야에서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잇달아 히트시킨 미국 애플의 벽에 부닥친 결과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LG전자의 경우 올 1분기 흑자 전환이 예상되긴 하지만 스마트폰 부진을 초래한 ‘애플 쇼크’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현대차는 도요타 리콜 사태에 이어 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하는 일본 자동차 메이커들이 부진한 덕에 반사이익으로 이어지고 있다. 유럽 및 미국 자동차회사 역시 현대차의 역동성을 따라가지는 못하고 있다.㎢
현대차는 일본 대지진과 신차 효과 등 대내외적인 환경이 우호적으로 형성되면서 깜짝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지난 1~3월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판매 성적을 거뒀다.
▶업황 사이클에 희비=국내 조선업계는 올 들어 기세를 떨치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올 1분기(1~3월) 조선ㆍ해양 부문 수주 실적은 지난해 동기 대비 배를 넘어섰다. 드릴십(심해 시추선), 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서 수주를 거의 싹쓸이하다시피 했다. 월등한 기술력과 함께 컨테이너선 등의 발주가 늘어나면서 시황이 좋아지고 있다는 점이 호재다.
반면 LCD업계는 울상이다. 가격 하락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 하락은 LCD 부문의 여파가 가장 크다. 지난해 1분기에 7890억원의 흑자를 낸 LG디스플레이 역시 4분기에 이어 이번 1분기도 적자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장 점유율 등 자체 경쟁력은 재론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높지만 TV 시장 부진 등 시황 자체가 워낙 좋지 않아 좋은 실적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구조다.
산업부/airinsa@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