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러 경제제재에도 피해<수혜
장기금리 강세, 안전선호 반영
美 3차 오일쇼크 ‘대응력’ 최강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또다시 긴축의 고삐를 바짝 죄었다.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씩이 아닌 0.5%포인트 이상 올리는 ‘큰 걸음’(big step)을 예고했고, 상한으로 여겨졌던 중립금리(연 2.4%)를 넘는 수준까지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단기금리가 급등했고, 장기금리는 주춤했다. 3년과 5년, 3년과 10년 국채금리가 역전됐고, 5년물의 30년물 추월도 눈앞이다.
1960년부터 미국은 10번의 장단기 금리 역전이 있었다. 1966년과 1998년 사례를 제외하고 모두1~2년 내에 경기 침체가 발생했다. 10년과 2년이 역전된 2007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이어졌다. 단기금리는 통화정책을, 장기금리는 물가와 경기를 반영한다. 단기금리를 올리면 인플레를 잡을 수 있지만 그만큼 경기에는 부담이 된다. 장단기 금리차가 줄면 금융회사는 이자수익이 줄어 대출에 소극적이게 되고 시장 유동성 위축으로 이어진다. 이번에도 그럴까?
최근 미국은 완전고용에 도달했고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되며 각종 경지제표가 호조다. 임금소득이 늘며 물가상승에도 상당한 방어력을 갖추고 있다. 단기금리가 오른다고 해도 장기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상당 수준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버틸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 10년 국채는 대표적인 글로벌 안전자산이다. 글로벌 경제가 어렵다면 자금은 달러, 즉 미국채로 몰리게 된다. 수요가 늘면 가격이 높아진다. 장기 채권금리 하락이지만 성장 정체가 주요 원인이 아닐 수 있다.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미국과 서방의 제재의 수위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 러시아의 타격이 상당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맞은 쪽도 아프지만, 때린 쪽도 피해는 있기 마련이다.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로 유럽은 비용 인플레 피해가 상당하다. 반면 미국은 러시아를 대신해 유럽에 천연가스를 팔아 고유가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지난 16일 금융시장 참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CNBC 조사에서 향후 12개 월내에 경기가 침체에 빠질 확률이 미국은 33%지만 유럽은 50%에 달했다.
원유와 천연가스 시장에서 단기간 러시아의 공백을 메우기는 어렵다. 고유가로 농가의 비용부담이 높아지면서 우크라이나발 식량 차질에 대응하기도 쉽지 않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되되면 현재의 인플레이션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경제의 ‘나홀로 호황’은 신흥국 통화 약세를 유발해 인플레 부담을 더 높인다. 유럽과 신흥국 소비 위축은 주요 수출국 경제에도 타격이다. 미국 밖의 요인으로 인해 미국 장단기금리의 역전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상황인 셈이다.
미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브레튼우즈 체재로 달러를 세계의 통화로 만들었다. 1,2차 오일쇼크도 달러의 힘으로 이겨냈다. 1차는 때는 국제 원유거래를 달러화로 독점했고, 2차 때는 이를 바탕으로 국제원유 선물시장을 개설해 수급균형을 이뤄냈다. IT버블과 금융위기, 코로나19 극복에도 달러 발권력은 다른 경제에 비대칭 전력이 됐다. 미국은 우크라 사태로 촉발된 3차 오일쇼크도 달러로 글로벌 유동성을 흡수하며 이겨낼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도 미국의 승리, 달러의 승리가 유력하다.
ky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