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성하고 재탄생하냐, 분열하고 갈등하냐”
내일 22대 당선인 총회 열고 추가 의견 수렴
‘6말7초 전당대회’ 부상 속 물밑 주도권 신경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내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실 인근 복도에 적막감이 흐르고 있다. 임세준 기자 |
[헤럴드경제=김진·박상현 기자] 국민의힘이 총선 참패를 수습할 차기 지도부 체제 논의에 돌입했다. 권한대행 체제 유지, 비대위의 비대위, 조기 전당대회 개최 등 여러 시나리오가 거론되는 가운데 과도기를 두고 22대 국회 개원 이후 전대를 여는 방안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다만 과도기 체제와 차기 당권을 놓고선 ‘수도권 대표론’을 주장하는 쇄신파와 기존 주류인 영남·친윤계 간 신경전이 감지된다.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은 15일 오전 국회에서 4선 이상 당선인 10여명과 간담회를 열고, 차기 지도부 체제를 포함해 총선 이후 당 수습 방안을 논의했다. 윤 권한대행은 이날 수렴한 의견을 바탕으로 16일 당선인 총회에서도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윤 권한대행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이제 우리는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다시 받을 수 있는 정당으로 거듭나는 여정을 시작해야 한다”며 “뼈저리게 반성하고 재탄생하는 모습을 보일 것인지, 아니면 분열하고 갈등하는 모습을 보일 것인지 국민은 유심히 지켜보고 계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는 이번 총선 5선에 오르며 수도권의 유력한 당권주자로 떠오른 나경원 서울 동작을 당선인이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6선 고지를 달성하며 영남권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갑)은 한미의원연맹 관련 미국 출장차 불참했다.
총선 직후 고개든 조기 전대 개최론은 주말을 지나며 점차 사그라드는 분위기다. 패배 원인에 대한 분석 없이 조기 전대 국면으로 들어설 경우, 당권을 놓고 이전투구하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당권주자 간 경쟁 과정에서 당정갈등이 부각되면 여당 스스로 정권의 레임덕을 자초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한 수도권 중진 의원은 21대 국회 마지막 정기국회까지 야당의 공세 대응에 집중해야 한다며 “원내대표가 대야 관계를 전담하고, 나머지의 관심이 전대로 몰리는 상황은 좋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영남권의 한 중진 의원은 “조기 전대는 당권경쟁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른 감이 있다”며 “여론에 밀려 너무 허겁지겁 가기보다, 합리적인 절차를 모색해야 한다”고 했다. 전대 개최 시점으로는 6월 말에서 7월 초가 주로 거론된다.
그러나 전대 개최 전까지 이어질 과도기 체제와 차기 당권을 놓고선 이견이 존재한다. 친윤계를 중심으로 윤 권한대행이 전대 개최 전까지 당 수습을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총선 기간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윤 권한대행 체제가 연장되는 것에 부정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한 재선 의원은 “대행 체제로 가서 지도 체제를 정비하는 게 낫지 않겠나”라며 “비대위원장도 딱히 맡을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반면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권한대행 체제가 장기화될 경우 총선 책임을 피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입장 차이 배경에는 차기 당권 둘러싼 이해관계가 있다는 게 중론이다. 당 체질 개선을 위해 ‘수도권 대표론’을 넘어 ‘30대 기수론’까지 나오지만, 당의 주류이자 절대 다수인 친윤계와 영남권의 견제가 상당하다. 일각에서는 차기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당 재건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원내대표의 지역구와 선수, 계파가 곧 차기 당권 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시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러한 신경전은 향후 전대 룰이나 지도체제 변경 논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30대 기수론으로 주목받았던 김재섭 서울 도봉갑 당선인은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수도권 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전당대회 룰도 어느 정도 우리가 시정할 필요가 있다”며 현행 당원 100%인 전대 룰을 ‘일반 국민 50%, 당원 50%’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지금은 당원 100% 구조로 되어 있는 전당대회이기 때문에, 영남의 힘이 굉장히 많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soho0902@heraldcorp.compooh@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