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 우크라 점령지에 북한 군대 파병 가능성…국정원, 동향 면밀 주시
“도네츠크 등 복구에 北군대 투입 가능성”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9일 금수산영빈관에서 회담이 진행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북한과 러시아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통해 사실상 군사동맹 관계를 복원함에 따라 우리 정보당국이 북한의 우크라이나 파병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

국가정보원은 군사동맹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은 북러의 조약 체결에 따른 러북 협력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양국의 군사협력 가능성 중에는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점령지역 복구에 북한 군대가 투입되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전문가들은 도네츠크, 헤르손, 자포리자 등 러시아가 점령·병합해 자국 영토로 선언한 지역에 북한군이 투입될 개연성이 커졌다고 보고 있다.

새로 체결된 북러 조약 제4조는 북러 중 한 나라가 무력 침공으로 전쟁 상태에 처하게 되면 다른 나라가 유엔헌장 제51조와 국내법에 준해 군사 지원을 제공한다는 내용이다. 북러가 북한 군대를 우크라이나 전쟁 지역에 투입하면서, 이를 유엔헌장의 집단방위권 행사 차원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승수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연합뉴스 통화에서 “북러 조약의 일차적인 목적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양국의 불법적 협력을 정당화하는 데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공병부대의 능력을 높게 평가하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지역 복구에 북한군의 지원을 받는 방안을 거론하는 러시아 내 전문가들이 더러 있다”며 “북러 조약 전에는 그냥 상상 속 아이디어로 치부됐으나 이제 현실적인 시나리오가 됐다”고 전했다.

다른 국책 연구기관의 러시아 전문가도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평가했다. 이 전문가는 “도네츠크와 헤르손은 러시아 국내법에 따라 러시아 땅이므로 새 조약에 따라 북한 군대가 가는 것이 정당하다고 북러가 주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점령지역 복구에 북한 공병부대를 투입하든 노동자를 보내든 전선에서 이들을 보호하려면 전투병력을 함께 보내야 한다”며 “우크라 전쟁 지역 복구에 북한 인력이 보내진다면 파병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yun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